2016/07/12

동적평형 | 기계론적 생명관에 일침을 가해라

review rating

동적평형 후쿠오카 신이치 | 기계론적 생명관에 일침을 가해라

원제: 動的平衡: 生命はなぜそこに宿るのか by 福岡伸一
즉,생명은 기계가 아니다. 거기에는 기계와는 전혀 다른 다이너미즘이 존재한다. 생명이 갖는 유연함,가변성,그리고 전체적으로 균형을 유지하는 기능 一 그것을 나는 ‘동적인 평형상태’라 부르고 싶다. (『동적평형』, 135쪽)

‘동적평형(動的平衡, dynamic equilibrium)’, 움직임이 평형을 유지한다?

'동적평형'이란 말을 처음으로 사용한 사람은 제2차 세계대전 때 독일에서 미국으로 망명한 루돌프 쇤하이머(Rudolf Schoenheimer)라는 과학자였다. 그는 분자의 행방을 추적하는 실험을 시작하기에 앞서 쥐의 몸속으로 들어간 아미노산이 연소하면서 에너지로 변하고, 연소한 가스는 호흡이나 소변의 형태로 신속히 배출될 것이라 예상했다. 하지만, 결과는 예상을 완전히 뒤엎는 것이었다. 동위체 표식한 아미노산은 쥐의 온몸으로 퍼지면서 모든 장기와 조직을 구성하는 단백질의 일부가 되어 있었던 것이다. 그러면서도 쥐의 몸무게는 전혀 늘지 않았다. 이 놀라운 발견은 크릭(Francis Harry Compton Crick)과 왓슨(James Dewey Watson)이 ‘DNA의 이중나선 구조’를 발견하기 10여 년 전에 일어났지만, 세간의 관심을 끌지 못하고 곧 잊혔다. 데카르트로부터 시작한 기계론적 생명관의 지배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했을뿐더러 곧 분자생물학 시대로 진입하면서 기계론적 생명관이 더욱 활기를 띠던 시대였기 때문이다.

Dynamic equilibrium: why life resides there by Shinichi Fukuoka

쇤하이머의 발견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그것은 생명은 기계가 아니라 자신을 끊임없이 파괴하고 재구축하면서도 정교한 균형을 유지하는 질서를 유발하는 ‘흐름’이다. 즉, 생명이란 동적인 평형 상태에 있는 시스템이며 생명현상이란 기계처럼 틀이 잡힌 구조가 아니라 질서 있는 흐름이 유발하는 ‘효과’라고 말하는 것이다.

우리는 여러 음식물로부터 이 ‘흐름’을 유지하기 위한 에너지와 다양한 분자들을 섭취하면서 끊임없이 죽어가는 세포들을 대체한다. 이로써 우리 몸의 모든 장기와 조직들은 엔트로피는 일반적으로 보존되지 않고 시간에 따라 증가한다는 열역학 제2법칙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한 개체의 생명은 영원할 수 없다. ‘열역학 제2법칙’과의 투쟁에서 결국 패배를 인정할 수밖에 없는 개체는 죽음을 맞이한다. 나름대로 훌륭한 오류 수정 방법을 고안해 낸 유전자와 세포들이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조금씩 축적된 오류들은 생명 유지에 치명적으로까지 작용하게 되었으니 이것이 바로 노화로 말미암은 죽음이다. 그럼에도, 이 패배는 거시적으로 보면 결코 치명적이지 않다. 왜냐하면, 노화로 죽어가는 생명 대부분은 이미 번식을 끝마친 상태기 때문이다. 이것은 죽음도 생명 순환의 영속적인 고리를 끊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쩌면, 이 죽음조차 생명 활동의 일부인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사람을 포함해 다른 생명의 죽음에서 생명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는 생태계 구성을 보면 죽음은 곧 다른 생명의 탄생을 뒷받침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우리를 둘러싼 자연은 마음 내키는 대로 착취하고 파괴해야 할 소모적인 자원이나 거치적거리는 장애물, 또는 가끔 안식과 휴식을 취하는 휴양지 정도가 아니라 생명의 ‘흐름’을 관장하는 주체자이다. 우리가 지금처럼 기어코 자연의 흐름을 거스르고자 한다면 그것은 제명을 깎아 먹는 일이나 다름없다. 왜냐하면, 사람은 자연 없이는 단 하루도 살 수 없지만, 자연은 사람 없이도 수억 년 이상을 잘 지내왔으니까. 우리는 모두 흙에서 오고 흙으로 돌아간다는 말, 새삼스럽게 다시 말할 필요가 있을까.

과학 교양도서치고는 매우 얇은 편에 속하지만, 그렇다고 얕잡아 볼 수 없는 책이 바로 후쿠오카 신이치(福岡伸一)의 책이다. 『생물과 무생물 사이』, 『모자란 남자들』에 이어 『동적평형』에서도 수필처럼 친근하고 쉽게 이야기를 풀어가면서도 기습처럼 핵심을 찌르며 독자의 감탄을 자아내는 능력은 명불허전이다. 『동적평형(動的平衡: 生命はなぜそこに宿るのか)』은 생명에 대한 명쾌한 이야기와 일상에서 오해하기 쉬운 분자생물학과 관련된 알쏭달쏭한 과학적 상식들을 쉽게 풀어씀으로써 누구나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다는 사실도 큰 장점이지만, 더더욱 중요한 것은 이 책을 발판으로 지적 호기심의 가지를 넓고 다양하게 펼쳐나갈 수 있다는 점이다.

사람은 아는 것만큼 본다는 말이 있다. 일례로 귀신을 봤다는 것은 귀신을 믿을 정도로 지적으로 성숙하지 못했다는 뜻이며, 그래서 인류의 종교가 여전히 건재한다는 것은 어쩌면 우리 스스로 지적 성실함을 스스로 포기한 결과일지도 모른다. 누군가 말하지 않았던가, 종교가 21세기에 첫 등장 했다면, 지금처럼 흥하지는 못했을 거라고. 아무튼, 더욱 많은 것을 보고 세상을 좀 더 정확하게 이해함으로써 좀 더 유연하게 살기를 원한다면 지식은 필수다. 이 때문에 지적 호기심은 충분히 자극될 필요가 있으며, 후쿠오카 신이치의 책은 괜찮은 지적 흥분제이자 자극제이다.

이 리뷰는 2016년 7월 12일 네이버 블로그에 올린 것을
특별한 수정 없이 그대로 옮긴 글입니다

0 comments:

댓글 쓰기

댓글은 검토 후 게재됩니다.
본문이나 댓글을 정독하신 후 신중히 작성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