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7/21

13.67 | 홍콩 경찰의 슬픈 역사

13.67 book cover
review rating

13.67 | 찬호께이 | 전설적 형사로 은유하는 홍콩 경찰의 슬픈 역사

“그 여덟 장은 금고 안에 남겨뒀습니다. 범인이 정보를 얻고 싶어 하는데 못 줄 것도 없죠. 난 손안의 패를 상대방이 못 보게 감추는 것보다 대범하게 다 보여주는 편을 좋아합니다. 상대방은 내 손만 보고 그게 내 패의 전부라고 생각하겠죠. 하지만 난 의자 밑에 그것보다 열 배가 넘는 패를 숨겨놓고 있거든요. 그래야 더 재미있어지는 겁니다.” (『13.67』, p562)

격동의 홍콩을 은유하는 형사 ‘관전둬’

추리 소설로는 드물게 미스터리의 엄밀함과 문학성을 두루 갖춘 텍스트로 독자를 현혹시키는 『기억나지 않은, 형사(遺忘.刑警)』로 일본 추리소설계의 거장 시마다 소지(島田荘司)로부터는 “무한대의 재능”이라는 찬사를 받았던 찬호께이(陳浩基)의 또 다른 작품 『13.67』은 홍콩의 전설적인 천재 형사 관전둬의 이야기다. 물론 관전둬는 실존 인물은 아니다. 그는 찬호께이가 홍콩 경찰의 어둡고 씁쓸한 역사를 재조명하고, 줄곧 아시아 속의 ‘작은 서양’으로 존재하다가 급성장한 신중국의 사회주의 체제로 편입되는 바람에 중심을 잃고 부침하는 격동의 시기를 보낸 홍콩을 은유하고자 창조한 인물이다. (솔직히 난 홍콩/중국 영화에 경찰로 멋지게 등장하는 배우들을 통해 봤던 모습들을 제외하고는 홍콩 경찰이나 홍콩 역사에 대해서는 쥐뿔만큼도 모르지만) 찬호께이는 ─ 소설 『13.67』 집필 시기인 ─ 2013년에 와서도 홍콩 경찰의 이미지가 회복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고 토로한다. 강하고 공정하고 정의롭고 용감하며 시민을 위해 온 마음으로 일하는, 그래서 홍콩 어린이들의 자랑거리이자 선망의 대상이 되었던 홍콩 경찰은 이제 온데간데없으며, 1967년 무렵의 괴상하고 추한 모습이 여전히 남아 있다는 것이다.

찬호께이에게는 홍콩 경찰이 전성기를 누렸던 때 같은 신뢰를 시민으로부터 다시 받을 수 있을지 회의적이다. 하지만, 관전둬의 파란만장한 형사의 삶 속에는 홍콩 사회와 홍콩 경찰이 겪었던 혼돈과 격동의 시기가 고스란히 녹아 있고, 또한 그가 백 퍼센트 해결률을 자랑하는 전설적인 형사라는 점을 고려하면, 저자는 홍콩 경찰을 은유하는 관전둬를 통해 홍콩 경찰의 암울한 현재를 어떻게든 빨리 떨쳐버리고 싶다는 무언의 희망을 노골적으로 드러낸 것이 아닌가 싶다. 그 희망 속에는 다시 홍콩 경찰이 어린이들의 우상이 되고, 시민의 든든한 버팀목이자 지원군이 되어 줄 가까운 미래도 포함되어 있을 듯싶다.

‘관전둬’의 사명감 속에 새겨진 홍콩 경찰의 밝은 미래

소설의 제목이 ‘13.67’인 것도 그런 연유에서다. 오늘날, 즉 20 13 년의 홍콩이 19 67 년의 홍콩처럼 똑같이 괴상하며, 홍콩 경찰 역시 그때처럼 바르지 못한 길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경찰의 온갖 부정, 부패, 특권이 거리에서 공공연하게 자행되었으며 본토의 문화대혁명 영향으로 사회적으로도 혼란하고 과격한 시기를 보냈던 때가 1967년임을 고려하면 저자가 탄식하며 걱정하는 홍콩 사회의 현재(2013년)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대략적으로나마 감을 잡을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눈여겨봐야 할 것은 관전둬가 경찰로서 갖는 사명감이다. 관전둬는 아무 의심 없이 무조건 상급자의 명령에 절대적으로 복종해야 한다는 홍콩경찰선서에 어긋나더라도 시민을 보호해야 하는 것이 경찰의 가장 우선적이자 진정한 임무라고 생각할 뿐만 아니라 그 자신이 형사로서 남긴 발자취에 깊이 새겨 넣은 부동의 신념이기도 하다. 제도가 무고한 시민에게 피해를 주거나 정의를 표방하지 못한다면, 경찰은 분명한 근거를 내세우면서 경직된 제도에 대항해야 한다는 것도 마찬가지다. 또한, 관전둬는 교활하고 음험한 범죄자에 맞서고자 자신의 목숨마저 기꺼이 내놓는 인물이 아니었던가!

찬호께이가 괜히 관전둬를 심어 놓은 것이 아니었다. 그는 지나치게 경직되고 자신들의 밥그릇만 지키기에 바쁜 현재의 홍콩 경찰(이 고질적인 병폐는 비단 홍콩 경찰뿐이겠는가!)이 스스로 정화할 수 없을 정도로 문제가 비대해지기 전에 옳은 길로 돌아오기를 바라는 간절함을 관전둬 형사를 통해 은근히 내비치는 것이다. 참고로 ‘홍콩 누아르’라는 장르를 탄생시켰을 정도로 경찰 조직에 부패가 만연했던 1970년대에 홍콩 정부는 염정공서(廉政公署, ICAC-HongKong : Independent Commission)라는 외부 조직을 만들어 ─ 이러한 역사적 사실은 「5장 빌려온 공간」의 배경이기도 하다 ─ 부패한 경찰을 조사하는 역할을 맡기기도 했다. 이런 극약 처방을 내려야 하는 최악의 상황으로까지 내몰리기 전에 홍콩 경찰이 어린이들의 우상이 되고, 시민의 든든한 지팡이가 되는 날이 다시 오기를, 선의를 가진 시민이라면 누구라도 환영할만한 이런 경사스러운 일이 비단 홍콩뿐만 아니라 우리 한국의 경찰도 그렇게 되기를, 찬호께이와 함께 소망해본다.

13.67 by Chen Haoji
<‘관전둬’의 사명감 속에 새겨진 홍콩 경찰의 밝은 미래>

뭐라고 씨부렁거리던 추리 소설의 묘미를 온전히 갖춘 수작이다!

이전 작품 『기억나지 않은, 형사(遺忘.刑警)』에선 볼 수 없었던 ‘사회파 미스터리’ 같은 요소가 소설 『13.67』에 포함된 것은 사실이지만, 뭐니 뭐니 해도 추리 소설의 묘미는 ‘미스터리’, ‘트릭’, ‘추리’, ‘반전’이라는 점에서 볼 때 『13.67』은 앞서 말한 모든 요소에 형사와 범인과의 뛰어난 두뇌 대결까지 갖춘 추리 소설의 완벽한 ‘풀세트’다. 마치 고수들이 바둑을 두는 것처럼 상대의 여러 수를 넘겨보고, 크고 작은 승패에 얽매이지 않는 포커페이스를 유지하며, 같은 동료와 심지어는 소속된 조직까지 속일 정도로 대담한 계략으로 도박사 같은 승부수를 던지는 관전둬와 지능범과의 치밀한 두뇌 대결은 관전둬 형사의 뛰어난 후배라고 할 수 있는 뤄샤오밍 형사마저도 속수무책으로 당할 정도로 종잡을 수 없다. 그만큼 관전둬 형사의 두뇌 플레이는 ‘역대급’이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뛰어나며, 추리력 역시 Sherlock Holmes(셜록 홈스)가 홍콩에서 환생한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날카롭기 그지없다.

한편, 그는 ‘사고 기계(The Thinking Machine)’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밴 두젠(Augustus S.F.X. Van Dusen) 교수(작가 잭 푸트렐이 창조한 인물), 할머니라는 혼화한 마스크 속에 번득이는 사고력을 감춘 미스 마플(Jane Marple), 제프리 디버(Jeffery Deaver)가 창조한 반신불수의 은퇴한 경찰 링컨 라임(Lincoln Rhyme) 같은 유형의 안락의자 탐정(Armchair detective)이기도 하다. 그렇다고 그가 행동하기를 싫어하는 게으른 유형의 형사라는 것은 아니다. (스포일러 때문에 자세하게 설명할 수는 없지만) 젊었을 때 그는 액션 영화에서나 볼법한 불꽃 튀는 추격전을 몸소 보여주기도 한다. 가끔 관전둬는 동료가 수집한 자료나 정보를 종합하고 추리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직접 현장에 가지 못함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하지만, 자신이 가장 잘할 수 있는 일이 무엇인지를 그 누구보다 잘 알고 있기에 현장 업무를 고집하지는 않는다.

마지막으로 이 소설은 현재에서 과거로 진행되는 역순의 연대기 형식이라는 평범하지 않은 구성을 취하고 있다. 여섯 편의 단편은 ‘관전둬 사건 일지’라고 제목을 붙여도 될 정도로 독립적이며 하나하나가 훌륭한 단편 추리 소설이다. 그러나 마지막 페이지의 마지막 문장을 접했을 때 받게 될, 마치 죽음의 신의 휘두른 거대한 낫이 온몸을 훑고 지나가는 것 같은 몸서리쳐지는 서늘함을 접하게 되었을 때, 독자는 찬호께이의 천재적인 플롯 구성, 그리고 서로 배타적이면서도 유기적으로 이어지는 플롯의 엄밀함에 혀를 내두르게 될 것이다. 특히, 마지막 반전은 또 한 명의 ‘관전둬’가 될 수도 있었을 법한 비범한 인물이 한 개인을 은은하게 짓누르는 역사와 기회와 운에 교묘하게 지배받는 인생이라는 격랑 속에서 교활한 범죄자로 타락하는 운명의 아이러니를 절실하게 느끼게 해준다.

0 comments:

댓글 쓰기

댓글은 검토 후 게재됩니다.
본문이나 댓글을 정독하신 후 신중히 작성해주세요